‘겨루기 심판위원장 인사 파문’은 예견됐던 일이다.

대한태권도협회 심판위원장의 인사를 두고 규정에 명시 된 심판위원장은 위원들의 호선으로 위원장을 선출되게 되어있다. 물론 위 규정의 기준은 심판 및 경기행정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독립성과 심판 수행 능력 못지않게 자리에 걸맞은 흠결 없는 도덕성을 갖추었는지, 태권도의 눈높이에 부합하는지가 우선 되어야 하기 위해 대한체육회가 경기가맹단체에 강제 규정으로 시행되고 있다.

이번 KTA 겨루기 심판위원장 파동 뒤에는 회장의 측근들의 개입으로 사전 박모 심판위원장 내락이 외부로 알려지며 박모 심판위원장 '부적격' 논란과 함께 회장의 일방통행 식 인사가 낳은 당연한 결과다.

사실 이 집행부의 인사는 출발부터 삐걱거렸다. 2017년 회장 첫 인사에서 이사 및 경기 임원 인선을 두고 여러 비판 속에 최근 오일남 상근이사 경질을 두고 회장에 대한 인사 스타일에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최창신 회장은 박모 심판위원장 후보자 등의 낙마 논란에서 보듯 달라진 게 없다. 되풀이 되는 인사파동에도 소통하는 인사가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교훈을 얻지 못한 셈이다.

박모 심판위원장 후보자는 애초부터 독립성을 생명으로 하기 위해 새로운 규정에 심판위원회 위원들의 호선으로 선출되는 심판위원장에 회장의 같은 고향 출신을 앉히겠다는 건 더더욱 옳지 않은 일이다. 사전에 심판위원장 후보자의 선정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1월 19일 KTA 겨루기 심판위원회는 천우필 심판위원장 만장일치 호선 결과는 당연한 결정이다. 그럼에도 협회는 '절차와 방식' 운운하는 회장 측근들은 아직 정신을 못 차린 느낌이다. 파동의 원인을 제공한 회장은 입이 열 개라도 다물고 있는 게 도리다. 덧붙여 인사는 인사권자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이다. 논란의 모든 책임은 회장이 져야 한다는 얘기다.

 

 

 

저작권자 © WTN 월드태권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